여러 풍경이 있는 텃밭 모습

<텃밭 위로 펼쳐진 저녁노을>

텃밭 가는 길에는 여러 풍경이 있다. 텃밭을 가꾸는 사람들의 개성이 각각 다른 탓이다. 그래서 보는 것만으로도 즐겁다. 모든 세상이 풀빵 구워내듯 똑같으면 얼마나 재미없을까? 사람마다 모습도 성격도 다 다르듯 그가 만든 작품들도 다르다.

<끈질긴 생명력의 미나리>

이 밭의 주인이 봄에 심었던 미나리꽝은 몇 차례 수확했는데도 불구하고 아직 건재하다. 베어 먹으면 또 자라고 또 자라 10월이 가까워 오는데도 끄떡 없다. 영화에서 보여준 ‘미나리’의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준다.

<달랑! 이파리 하나 토란>

토란을 심은 밭도 있다. 토란은 크면 사람 키 만큼이나 큰다. 토란 줄기는 말려 두었다가 육개장을 만들 때 필수요소다. 식이섬유가 많아 다이어트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외떡잎식물로 토란은 넓적한 잎을 가지고 있어 어렸을 때 우산처럼 쓰기도 했던 추억이 있다. 넓적한 잎 하나 달랑 들고 있는 게 귀엽다. 마치 순천만 습지에서 본 수컷 농게가 들어 올린 비대칭으로 큰 다리 같다.

<참새가 겁이나 먹을까?>

이 조그만 텃밭에 폼 잡고 있는 허수아비의 모습은 앙증맞기까지 하다. 하기야 어디서 날아오는지 참새떼가 우르르 몰려다니곤 한다. 하지만 꼬마 야구 선수 같기도 하고 귀염둥이 어린아이 같기도 한데 참새가 겁이나 먹을까 모르겠다.

<강낭콩이 여물어 간다>

강낭콩이다. 조그만 밭의 대부분을 강낭콩에 할애했다. 한여름 따가운 햇볕에 잘 여물어가는 모습이 보인다. 아마 어렸을 때 강낭콩 밥을 해 주시던 어머니가 그리웠나 보다. 여간해서 이렇게 강낭콩을 심기가 어려운데 과감하게 강낭콩을 선택한 것을 보면 남다르다.

< 예쁘게 자라는 아욱>

나는 아욱국을 좋아해 아욱을 심었다. 봄에 뿌렸던 씨앗이 남아서 뿌렸더니 수북이 자라났다. 얼마 되지 않지만, 가을에 먹는 아욱국은 얼마나 맛있을까 기대가 된다. 아마 전날 술이라도 한잔 한다면 속쓰림을 확 풀어줄 것 같다.

<무럭무럭 자라는 김장용 배추>

어렸던 배추가 이렇게 자랐다. 왕성한 식욕을 자랑하며 하루가 다르게 커가는 청소년을 보는 것 같다. 머지않아 충분히 흡수한 영양소를 겹겹이 쌓아 저장할 것이다.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영양소를 보관하는 법을 알아 단단하게 노란 속으로 채울 것이다.

<싱싱한 열무>

김장용 무를 간격을 두고 심고나서 남은 무씨를 골을 타고 뿌렸다. 중간에 솎아 열무김치라도 담궈 먹기 위해서다. 수북하게 탐스럽게도 자랐다. 아삭아삭 맛깔나는 열무김치가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집으로 가는 길 불타는 노을>

집으로 돌아가는 텃밭 위로 저녁 노을이 불탄다. 어떻게 저 넓은 하늘을 붉은 물감을 칠한 듯 물들일 수 있을까? 아무리 과학이 발달하고 인간 두뇌가 뛰어난들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한 번도 똑같은 하늘은 없다. 자연의 신비로움과 위대함에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저 저녁 노을처럼이나 아름답게 세상을 살다 가자’

기사 원문보기: https://cafe.naver.com/sbckorea/41899

#텃밭#노을#허수아비#토란#미나리#배추#무

저작권자 © 시니어 타임스(Senior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