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밭의 파수꾼’ 저자 J.D. 샐린저의 생애

영화의 한 장면
영화의 한 장면

대니 스트롱 감독의 드라마 영화다. 주연에 샐린저 역으로 니콜라스 홀트, 우나 역에 조이 도이치, 사라 폴슨 등이 출연했다.

이 영화는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고전 1위, 영미문학의 대표작 ‘호밀밭의 파수꾼’ 탄생 비하인드 스토리를 담은 이 소설의 저자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의 자전적 생애를 그린 영화이다.

‘호밀밭의 파수꾼(The Catcher in the Rye)’은 익숙한데 영화 제목이 ‘호밀밭의 반항아(Rebel in the Rye)’라서 다소 의아할 수 있다. 호밀밭의 파수꾼은 호밀밭에서는 아이들을 절벽 끝에서 더 이상 위험에 처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이다. 그의 장래 희망이기도 하다. 순수함을 뜻하는 아이들을 보호해주고 싶은 것이다. 그런데 영화 제목은 호락호락하지 않은 그의 성격을 보여준다, 세상은 온통 위선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은 1951년에 출판되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홀든 콜필드는 십대의 불안을 상징하는 인물로 그려져 있다. 홀든은 성적 부진으로 낙제한 뒤 명문 사립기숙학교인 펜시 고등학교에서 퇴학당한다. 홀든은 그의 부모님께 퇴학통보가 담긴 편지가 부모님에게 전달될 때까지 걸리는 3일간 72시간을 그려냈다. 자신의 집이 있는 뉴욕 시에서 보내며 이 때의 경험이 책의 주요 줄거리를 이루고 있다. 뉴욕에서 자신의 꿈을 찾지 못한 채 서서히 미치광이가 되어 버린다.

주변 사람들이 추구하는 통속적인 가치관을 위선이라며 부정한다. 좋은 집과 차, 많은 돈, 아름다운 여자 등은 홀든에게는 의미 없는 것으로 본다. 사람들은 거짓말쟁이, 바보이며 하위와 허식 속에서 살아가는 것을 경멸하고 싶다고 한다. 어찌 보면 사회 부적응자 이지만, 자신만의 가치관 속에서는 자신의 신념을 지켜나가는 정상적인 인물이라는 것이다.

이 책은 케네디 암살범으로 알려진 오스월드가 이 책을 소지하고 있었다. 존 레논을 저격 살해한 마크 채프먼이 "모든 사람들이 호밀밭의 파수꾼을 읽어야 한다"고 말해서 화제를 낳기도 했다. 그만큼 이 책은 반항아적인 내용이 들어 있다.

샐린저는 1919년 생이다. 1940년에 처녀작인 ‘젊은이들’로 문단에 등장했고, 1951년에 발표한 그의 첫 장편 소설 ‘호밀밭의 파수꾼’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러나 아내와도 이혼한 채, 한적한 시골 농가에 칩거하여 집필하며 살다가 2010년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글쓰기는 자신을 위한 것이지, 글쓰기에는 보상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부정한 그의 신념 그대로 였다.

셀린저도 학교에서 퇴학당한 후 방황하던 중 모두가 선망하는 사교계의 스타 우나에게 첫눈에 반한다. 그녀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유명 작가가 되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그녀는 다른 남자와 결혼하고 작가가 되는 길도 만만치 않았다. 샐린저는 출판사의 계속되는 거절에도 포기하지 않고 소설을 썼다. 마침내 ‘스토리’지에 그의 첫 단편집 '젊은이들'이 실린 후 그는 작가로 명함을 내민다. 이후 ‘뉴요커’지에 실리기를 바랐으나 그 잡지는 일부 내용의 수정을 요구한다. 그는 일거에 거절했으나, 훗날 호밀밭의 파수꾼이 된 ‘홀든 콜필드’ 단편을 출판사 요구대로 수정에 응하여 내며 작가로서 인정받는다.

그 즈음 일본이 진주만을 기습공습하면서 샐린저는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게 된다. 영국 연합군에 배속되어 전투에 나선다. 그의 교수는 샐린저에게 단편대신 장편소설을 쓰라고 조언한다. 장편의 중압감에 주저하지만, 단편보다 양만 많게 쓰면 된다며 그래야 성공할 수 있다고 설득한다. 그는 전쟁 중에도 홀든 콜필드의 집필을 이어간다. 전쟁은 삶과 죽음을 넘나들게 하면서 작가의 지평을 넓혀주는 모양이다. 그러나 그는 전쟁 트라우마로 시달린다. 일 년 간 정신병원에 입원하며 피폐한 삶을 지내면서도 소설을 집필했다. 훗날 홀든 콜필드는 '호밀밭의 파수꾼'이라는 이름의 장편 소설로 발간됨과 동시에 베스트셀러가 된다. 그 당시 독자들이 자기 이야기라며 공감하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저작권자 © 시니어 타임스(Senior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