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 글로벌 정책 컨퍼런스'
18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진행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장병규 위원장(사진 왼쪽에서 8번째)이 18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4차 산업혁명 글로벌 정책 컨퍼런스’ (Global Policy Trend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2018)에 참석한 세계 각국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 4차산업혁명위원회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위원장 장병규 이하 4차위)는 18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4차 산업혁명 글로벌 정책 컨퍼런스’
(Global Policy Trend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2018)를 개최했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장병규 위원장(사진)이 18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 글로벌 정책 컨퍼런스’
(Global Policy Trend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2018)에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 4차산업혁명위원회
 

장병규 위원장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경계가 사라지고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개별 국가의 정책적 노력도 중요하지만 글로벌 차원의 협력과 공조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또한 “노동환경, 사이버 보안 등은 개별 국가만의 노력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고 지적하면서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각국의 경험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것이 상호 이해를 높이고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시작점”이라고 말했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유럽연합(EU), 세계은행그룹, 미국, 독일, 중국 등 7개국과 4개 국제기구 13명의 정책 전문가들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각 국의 정책과 사례들을 발표한다.

개회식 직후 첫 번째 기조연설을 펼친 마이클 레이터러(Michael Reiterer) 주한유럽연합대사는 'EU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4차 산업혁명'을 주제로 “4차 산업혁명은 사람의 효용을 위해 서비스 되어야 하며, 시민사회를 비롯하여 민관분야의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알리스테어 놀란(Alistair Nolan) OECD 수석정책분석가는 "최근 OECD의 다양한 분석을 기반으로 한 기술의 융합으로 인한 생산혁명을 강조"하면서 “현재의 생산성 위기와 급속한 인구 고령화의 솔루션으로 새로운 생산기술의 성공적인 적용이 시급하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는 기술확산, 적합한 기술 개발 그리고 우수한 디지털 생태계 개발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관심을 가져야 하며, 특히 기술확산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신기술을 사용해 성장할 수 있는 기업들에게 인적자원과 금융지원이 가능한 여건을 만들어주고 정부 기관들이 이를 적극 도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고 역설했다.

특별강연에 나선 덴마크 혁신위원회(the Disruption Council) 위원이자 벤처기업가인 캐롤라인 알리펠트(Caroline Ahlefeldt)는 "덴마크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공유 및 플랫폼 경제에 관한 정책 협약’등 사회적 합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혁신위원회는 덴마크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민간자문기구이며 ①현지기업 및 교육기관 방문 ②공공토론의 장 마련 ③사회적 협약 제안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후에는 3개 분과의 토론이 진행된다.

제1분과는 서울대 김성철 교수의 주재 하에 「4차 산업혁명과 과학기술 혁신」을 주제로 미국, 중국, 덴마크의 발제에 이어 고려대 김승주 교수의 토론으로 이어진다.

캐롤라인 정(Caroline Chung) 주한미국대사관 상무관은 "AI기술의 신뢰 구축을 위해 지적 재산권 보호 강화와 국가 사이버 보안 향상 그리고 비용 절감을 위한 기능 통합 등의 정책 사례"를 발표하고, 마틴 루네 혹서(Martin Rune Hoxer) 주한덴마크대사관 혁신센터장은 "디지털 혁신 허브, 혁신센터와 같은 덴마크 혁신정책사례를 통해 신기술이 국가 전반에 미치는 급진적인 변화 및 이해당사자간의 협업 필요성"을 소개한다. 또한, 푸 꾸웨이(Fu Gui) 주한중국대사관 과학기술참사관은 "중국의 스마트 제조 표준화, AI 발전계획"을 발표한다.

2분과에서는 고진 한국모바일산업연합회 회장의 사회로 '4차 산업혁명과 산업경제 혁신'이란 주제하에 독일, 영국, 네덜란드, 세계은행그룹의 정책 발표와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의 토론으로 진행된다.

베어트 뵈르너(Weert Borner) 주한독일대사관 경제공사는 "독일 ‘Industry 4.0’관련 최근 정책 사례"에 이어, 사이몬 스피어 (Simon Spier) techUK 국제통상팀장은 "영국의 스마트시티로서 맨체스터와 브리스톨의 사례", 강호진 주한네덜란드대사관 농무관은 "미국에 이어 농식품 수출 세계 2위 국가로 성장한 네덜란드의 4차 산업혁명 시대 ‘스마트 농업’정책 사례 및 농식품 정책 성공 이유" 등을 소개한다.

3분과는 임춘성 연세대 교수의 사회로 '4차 산업혁명과 사회제도 혁신'이란 주제를 놓고 EU, 일본, ASEAN의 정책 발표와 이나리 ㈜플래너리 대표의 토론으로 진행한다.

니콜라스 버지(Nicholas Burge) 주한유럽연합대사관 경제팀장은 "4차 산업혁명의 사회적 영향과 일반데이터보호규정(GDPR) 등 EU 정책 및 사례", 아리마 노부아키(Arima Nobuaki) 주한일본대사관 참사관은 "빅데이터 기반의 AI와 로봇이 대리자로서 수행하거나 적응을 지원하는 ‘Society 5.0’ 정책 및 사례", 농치스 캄분행(Nonghith Khambounheuang) 한-아세안센터 무역투자국장은 "아세안(ASEAN)과 개별 아세안 회원국(AMS)의 4차 산업혁명 준비 상황"를 소개한다.

4차위는 "이번 컨퍼런스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국가간 협력의 계기가 되었기를 희망한다"면서 "앞으로도 각국의 4차 산업혁명 관련한 정책과 정보를 공유하고 글로벌 네트워킹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니어 타임스(Senior 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